미술계 소식

노은님 ‘붉은 새’로 부활…박명자×권준성 “좋은 작품은 시대를 뛰어넘어”

등록 2025-10-15 00:10:00  |  수정 2025-10-15 01:20:17

현대화랑서 3주기 특별전 2~3m 대작 압도감

20여 점 전시작 모두 박명자 회장 소장품

박 회장, 대형 그림 3점 아카이브에 기증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빨간 새와 함께'를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인생의 숙제를 푸는 데 그림은 나에게 도구였으며 길이었다. 그 속에서 나는 나를 태우고, 녹이고, 잊고, 들여다보았다. 살아남기 위해 전쟁터 병사처럼 싸울 필요는 없다. 오히려 풀밭에서 뛰노는 어린아이 같아야 한다.”( 화가 노은님)
화가 노은님(1946~2022) 그녀가 세상을 떠난 지 3년. 그 ‘어린아이의 마음’은 다시 붉은 새의 날개를 달고 현대화랑으로 돌아왔다.

15일부터 여는 전시 ‘빨간 새와 함께’는 단순한 회고가 아니다. 양아들 권준성의 손, 박명자 현대화랑 회장의 품에서 되살아난 ‘시간여행자’의 귀환이다.

현대화랑에서 1992년 첫 개인전, 2015년 ‘내게 긴 두 팔이 있다면’ 이후 10년 만의 귀환이다. 이번 회고전은 노은님이 생전 가장 왕성하게 활동했던 1980~1990년대 평면 회화 20여 점을 중심으로 그녀의 생명적 회화 세계를 다시 불러낸다. 대작의 압도감과 해방감을 전하는 작품은 모두 박명자 회장의 소장품이다.

"이런 아침 잔디 위에 맺힌 이슬이 구슬 같다. 뭐든지 때가 되면 오고, 또 간다. 이 세상에는 아무것도 필요 없이 나와 있는 것이 없다."

전시장 벽면에 새겨진 그녀의 말처럼 화면에는 낭비가 없다. 검은 선 하나, 붉은 점 하나, 모두 존재의 흔적이다. 화면 속 생명체들은 시간을 잃은 듯 공기처럼 흐른다. 1970~80년대 함부르크에서 시작된 실험은 검정과 붉음, 달빛과 어둠이 공존하는 거대한 생명의 리듬이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박현주 미술전문기자= 2019년 가나아트센터에서 전시한 노은님 작가. 뉴시스 DB.2019.07.18. [email protected]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큰 물고기 하나'를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 ‘색이 아니라 빛이 있다’
노은님 아카이브 관장 권준성은 이렇게 회상한다. “노은님은 90년대까지 색을 두려워했지만, 결국 ‘색이 아니라 빛이 있다’는 깨달음에 이르렀습니다. 이후 남부 화실에서의 작업은 완전히 밝고 자유로워졌죠.”

그는 노은님의 양아들이자 20년을 함께한 후견인이다. 생전 노은님은 그를 ‘장군’이라 불렀다. 예술가와 조력자, 어머니와 아들의 관계를 넘나든 유대였다.

권 관장은 “노은님은 한국에서 불리는 ‘파독 간호사 출신 화가’라는 꼬리표를 떼고 싶어했다"며 안타까움을 표했다. 실제로는 잠시 간호보조원으로 일했을 뿐 ‘나는 간호사가 아니었다’는 노은님의 말은, 출신으로 예술을 규정하려는 시선에 대한 조용한 반박처럼 들린다.

1946년 전북 전주에서 태어난 노은님은 1970년 독일로 건너가 간호일보다 그림에 더 재능을 보였다. 1973년 국립 함부르크미술대학에 입학해 회화를 전공했다.

1979년부터 본격적으로 작가 활동을 시작한 그는 유럽을 중심으로 활발히 전시하며 국제적 명성을 쌓았다. 그 무렵 백남준은 파리에서 박명자 사장에게 이렇게 말했다. “독일에 노은님이라는, 그림 잘 그리는 여자가 있어요.”

그 한마디가 인연이 되어, 이듬해 현대화랑에서 열린 백남준·노은님 2인전 ‘독일 속의 한국 현대미술’이 국내에 노은님의 이름을 처음 알리는 계기가 되었다.

1984년에는 백남준, 요셉 보이스와 함께 ‘평화를 위한 비엔날레’에 참여했고, 1990년에는 한국인 최초로 함부르크 미술대학(HFBK)의 정교수로 임명됐다.

2019년 독일 미헬슈타트 오덴발트미술관에는 그를 기리는 ‘노은님 영구 전시관’이 개설되며, 그의 예술 세계가 독일 현대미술사 속에 공식적으로 자리매김했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14일 현대화랑에서 노은님 양아들인 권준성 씨가 전시 설명을 하고 있다. *재판매 및 DB 금지



권 관장은 20년간 작품을 옮기고 자료를 정리하며 지금까지 노은님의 작품 1000여 점을 직접 수집했다. 독일과 한국을 오가며 흩어진 작업을 복원했고 결국 파주출판단지에 ‘노은님 아카이브’를 설립했다.

“우리가 연구하는 게 아니라, 연구할 수 있게 돕는다. 젊은 연구자들이 자료를 보고 공부할 수 있도록 서포트하는 게 아카이브의 본질”이라고 했다.

생전 노은님은 “전 세계 작품의 소유권·판매권·저작권을 장군에게 물려준다”고 유언했지만, 권 관장은 “남편이 계시니 섭섭할까 봐 하나도 가져오지 않았다”고 했다. 법적 상속이 아닌, 신뢰의 윤리적 위임이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15점을 선별해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 ‘기적의 귀환’
권준성은 이번 전시를 ‘기적의 귀환’이라 부른다.

 “박명자 현대화랑 회장님이 끝까지 작품을 지켜주지 않았다면 이 만남은 불가능했을 겁니다.”

박 회장은 1990년대부터 노은님의 작품을 보관해왔고, 이번 회고전을 위해 수십 년의 기록을 복원했다. 그녀의 손과 권 관장의 헌신이 부활의 무대를 완성했다.

3m에 달하는 대작에서 새·고양이·물고기·오리·호랑이가 점과 선으로 숨 쉰다. 검은 선은 흐르고, 붉은 점은 심장처럼 뛰며, 달빛과 어둠이 교차한다. 그림은 ‘생명의 즉흥시’다. 권 관장은 “전시장 1층 대형 그림 3점은 박 회장이 아카이브에 기증했다”고 덧붙였다.

1970년, 노은님이 독일로 건너간 해이자 현대화랑이 문을 연 해. 반세기 전 한쪽은 낯선 땅에서 예술의 언어를 찾았고, 한쪽은 한국에서 현대미술의 역사를 써내려가기 시작했다. 그리고 지금, 두 시간의 축이 다시 만났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나무 가족'을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 ‘내 고향은 예술이다’
노은님은 전북 전주에서 태어났지만 “내 고향은 예술이다”라고 말했다.

간호보조원·이민자·여성 화가라는 경계를 넘어, 그는 ‘예술 그 자체’로 존재했다. 아이와 어머니, 새와 인간, 달과 태양이 한 호흡으로 엮인 화면은 ‘존재의 순환’을 상징한다.

1980년대 독일에서의 작업은 표현주의와 네오프리미티브를 자신만의 언어로 재해석한 결과다. 대형 회화 ‘나무 가족’(1984)은 도시의 기호가 아니라 내면의 상징에서 길어 올린 ‘원초의 문법’을 보여준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15점을 선별해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 ‘좋은 작품은 시대를 뛰어넘는다’
이번 전시에는 1980~1990년대 대표작 20여 점이 걸렸다. 붓질은 절제됐지만 생명력은 폭발적이다. 검은 선은 여백과 교감하고, 붉은 점은 생명의 맥박처럼 뛰어오른다.

장식을 배제한 검고 굵은 선은 유연하게 움직이며 화면의 여백과 교감하고, 어떠한 구속에도 얽매이지 않은 자유와 독창성을 드러낸다.

전시장 한편에서는 다큐멘터리 ‘내 짐은 내 날개다’(1989)가 상영된다. 노은님은 영화 속에서 “내가 아무런 생각도 갖지 않는 순간에 말입니다. 그리고는 이 순간은 금방 사라집니다”라고 말한다.

노은님은 평생 붓을 놓지 않았다. 생전 인터뷰에서 "화가 팔자"라고 했던 그녀는 대학 시절의 스케치부터 생의 마지막 순간까지 남긴 작품이 약 7만 점에 이르는 것으로 알려졌다. 그 숫자는 단순한 기록이 아니라, 삶을 예술로 번역한 세월의 총량이다.

노은님은 “좋은 작품은 시대를 뛰어넘는다”고 했다. 또 “원시적인 것, 세련된 것, 멋있는 것, 현대적인 것을 최고로 꼽으며 내가 그린 그림은 언제 봐도 현대적이다”고 했다.

그의 말처럼, 노은님의 예술은 지금도, 그리고 백 년 뒤에도 현재진행형이다.

 '그림’의 순정을 되살린 이번 전시는 단순한 회고가 아니다. 노은님이 남긴 시간의 결이 다시 살아나는 부활의 의식이다.

권준성과 세계 각지의 팬 100여 명이 자발적으로 참여하는 추모행사도 18일 열린다.

예술은 그렇게, 피를 잇지 않아도 사랑으로 유전된다.

“내 고향은 예술이다.” 라고 말했던 그 문장은 다시, 오늘의 시간 위에 새겨지고 있다.

권준성 관장은 “노은님 예술은 지금의 가치로는 평가할 수 없지만, 백 년 뒤엔 한국 여성 예술사의 마스터피스로 남을 것”이라며 벅찬 자부심을 보였다.

현대화랑의 이번 노은님 3주기 전시는 11월 23일까지 열린다. 관람 무료.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두나무 잎사귀 사람들'을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15점을 선별해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현대화랑은 개관 55주년을 맞아 재독 화가 노은님(1946~2022) 특별 회고전 ‘노은님  빨간 새와 함께 With The Red Bird’ 언론공개회를 14일 서울 종로구 현대화랑에서 갖고 작가의 1980~90년대 대표작 '큰 물고기 하나'(왼쪽)과 '큰 물고기 식구들'을 선보이고 있다. 2025.10.14. [email protected]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