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변웅필, SOMEONE, 2025, Oil on canvas, 54 x 74cm. 사진=변웅필.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하루의 빛이 물감 위로 스며든다.
붓은 천천히 움직이고, 공기마저 멈춘다.
서울 삼청동 호리아트스페이스에 걸린 변웅필의 신작들은 조용하지만 고도의 집중으로 빚어진 시간의 표면이다.
그는 스스로를 “특별할 것 없는 그림을 그리는 사람”이라 말한다.
하지만 그의 그림은 결코 아무렇지 않은 게 아니다.
그 안에는 수천 번의 호흡, 끝없는 반복, 그리고 ‘거짓말하지 않는 회화’에 대한 단단한 신념이 스며 있다.
 |
|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변웅필 개인전이 호리아트스페이스에서 7일부터 12월6일까지 열린다. *재판매 및 DB 금지 |
◆선의 통제, 면의 고요
“선을 남기는 선이 면화(面化)되는 거예요. 얇은 면이 선처럼 보이게 만드는 거죠.”
변웅필의 회화는 선과 면의 경계를 해체한다.
유화의 점성과 두께 때문에 한 번에 그을 수 없기에 그는 수십 번의 반복으로 선을 완성한다.
“막 그리는 건 싫어요. 통제하고 싶어요.”
그에게 선은 흔적이 아니라, 수련의 궤적이다.
그의 화면에는 서로를 마주보거나, 가볍게 부비는 두 인물이 등장한다.
파스텔톤으로 눌러 앉은 얼굴들은 따뜻하지만 묘하게 긴장돼 있다.
퀴어적인 뉘앙스를 풍기지만, 그것은 성적 코드라기보다 관계의 온도에 관한 회화적 실험이다.
서로의 경계를 흐리며 맞닿은 얼굴들은 결국 ‘나’와 ‘너’의 거리를 탐색하는 작가의 방식이다.
그 얼굴들은 하나같이 웃고 있다.
변웅필의 인물들은 ‘괜찮지 않아도 괜찮은 얼굴들’이다.
하루를 다 버티고도 여전히 웃을 수 있는 사람들의 초상, 그게 얼마나 묵직한 일인지를 보여준다.
 |
| 변웅필, SOMEONE, 2025, Oil on canvas, 91 x 76cm . *재판매 및 DB 금지 |
◆진실의 회화, 노동의 리듬
“화가는 아무것도 아니에요. 그냥 그림을 그리는 사람일 뿐이에요. 하지만 거짓말은 하지 않아야죠.”
변웅필은 붓질하는 사람이다. 화가로서의 정직한 태도는 화면에 고스란히 남는다.
그의 화면은 방향이 일정하고, 얼룩이 없다.
얼룩 하나, 흔적 하나 없는 그의 평면은 진실 그 자체의 표면이다.
매끈한 표면은 우연이 아니라 수천 번의 의도다.
그는 말한다. “화가니까, 내가 만족해야 마감할 수 있어요.”
변웅필에게 회화는 하루의 노동이자 삶의 리듬이다.
매일 같은 시간, 같은 자리에 앉아 하루의 공기와 색을 마주하는 일. 그것이 그에게는 예술이고 생이다.
 |
|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6일 호리아트스페이스에서 작가 변웅필이 작품설명을 하고 있다. *재판매 및 DB 금지 |
◆붓질하는 노동자, 장인의 정신
그의 진심은 회화의 태도로 이어진다.
작업실에서 하루에도 여러 개의 붓이 사라진다.
“붓 하나로 두 번 못 써요. 다 쓰고 부러뜨릴 때 쾌감이 있어요.”
그 쾌감은 낭비가 아니라 소진의 미학이다.
그는 캔버스도, 나무 액자도 직접 짠다.
“짜고 나면 운동 끝난 다음 같은 기분이에요. 내가 작가로서 뭔가를 해냈다는 감정이 들어요.”
기계가 대신할 수 없는 일, 손이 닿아야 완성되는 일. 그에게 붓질은 노동이고, 마감은 신앙에 가깝다.
‘그림보다 이미지를 소비하는 시대’, 변웅필은 묵묵히 화가의 자리를 지키고 있다.
스타 작가에서 중견 작가로 성장했지만, 그 발 아래는 오히려 더 단단히 정박돼 있다.
 |
| 변웅필, SOMEONE, 2025, Oil on canvas, 54 x 42cm *재판매 및 DB 금지 |
◆아무렇지 않은 것들의 존엄
이번 전시에는 인물과 사물이 함께 등장한다.
‘SOMEONE’이 얼굴이었다면, ‘SOMETHING’은 이름 없는 사물이다.
둘 다 색과 형태를 담는 그릇일 뿐이다.
그는 그릇을 구별하지 않는다. 모두가 동등하게 존재하는, 아무렇지 않은 세계다.
“변웅필 작가는 4년의 시간 동안 한 치의 흔들림 없이 자신만의 회화 언어를 발전시켜왔다.”
호리아트스페이스 김나리 대표는 “이번 전시는 ‘SOMEONE’에서 ‘SOMETHING’으로 확장하는 전환점”이라고 했다.
전시장 한편엔 이런 문장이 적혀 있다.
“너는 너 대로 나는 나 대로 아무렇지 않은.” “마주 불어오는 바람이 아무렇지 않은.”
변웅필에게 ‘아무렇지 않다’는 말은 무심함이 아니라 존중의 상태다.
비교도, 위계도, 욕망도 없이 존재들이 공존하는 세계. 그의 그림은 그 세계의 기록이다.
 |
| 변웅필 개인전 '아무렇지 않은 날들' 전시전경, 호리아트스페이스, *재판매 및 DB 금지 |
◆아무렇지 않은 날들의 선언
이번 전시 ‘아무렇지 않은 날들’은 그가 견고하게 지켜온 진실의 회화에 대한 선언이다.
특별하지 않기에 진솔하고, 반복되기에 더 깊어지는 색의 리듬.
그는 말한다. “진짜 별거 아닌 걸로 봐주면 좋겠어요. ‘편하다’, ‘좋다’, 그 정도면 돼요.”
감동을 받든, 비판을 하든, 모두 떠도는 이야기일 뿐이다.
그의 그림은 관객에게 이렇게 속삭인다.
“보고 싶은 대로 봐요. 그저 보면 돼요. 그것이면 충분해요.”
전시는 12월 6일까지 열린다.
 |
| 호리아트스페이스, 변웅필 개인전 '아무렇지 않은 날들' 전시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