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ditor's Pick

흑인·퀴어·도시의 기억, 그 위를 걷는다…마크 브래드포드 亞 첫 회고전

등록 2025-07-31 17:44:36  |  수정 2025-08-01 07:31:04

아모레퍼시픽미술관 'Keep Walking' 개막

회화의 틀을 해체하는 바닥 위의 추상

불타는 지구·영상·신작 포함 40여 점 소개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현대미술 기획전으로 미국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갖고 대형 추상회화 작품은 선보이고 있다. 2025.07.31. [email protected]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알록달록 거대한 추상 회화 위를 걷는다는 것.

처음엔 주저하다가도, 한 발 내딛는 순간, 우리는 그 안으로 빠져든다.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전시는 ‘보는’ 것이 아니라 ‘걷는’ 행위로 체화되는 회화의 현장이다.

서울 용산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8월 1일 개막하는 'Mark Bradford: Keep Walking'은 미국 현대미술을 대표하는 작가 브래드포드의 아시아 첫 대규모 회고전이다.

회화, 설치, 영상 등 40여 점을 통해 작가는 ‘사회적 추상(Social Abstraction)’이라는 독자적 언어로 사회 구조와 존재의 무게를 꿰맨다. 전시는 2024년 독일 함부르거반호프 순회전의 연장선이다.

31일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열린 기자간담회에서 마크 브래드포드는 “나는 미술사와 투쟁하는 사람”이라며 “내 작업 안에는 나 자신을 자유롭게 하는 힘이 있다”고 말했다. 2m가 넘는 장신과 함께, 그는 예술가로서의 자신감을 유감없이 드러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미국 추상회화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가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하고 있다. 2025.07.31. [email protected]


◆“미술사와 싸워왔지만, 예술가로서의 기쁨은 포기하지 않았다”
1961년 로스앤젤레스 사우스 센트럴에서 태어난 브래드포드는 어머니의 미용실에서 보낸 유년기를 토대로 흑인, 퀴어, 도시 하층민의 삶을 예술로 번역해왔다.

거리에서 수집한 전단지, 포스터, 신문지 등 도시의 파편을 찢고 겹쳐 구성한 그의 작업은 '사회적 추상’이라는 미술사적 개념을 탄생시켰다.

예술가의 길은 늦게 시작됐지만 빠르게 세계의 중심에 도달했다. 30대 중반 캘리포니아 예술대학교에서 뒤늦게 석사 과정을 마친 그는, 2017년 베니스 비엔날레 미국관 대표로 발탁되며 주목받았고, 이후 타임지 ‘세계에서 가장 영향력 있는 인물 100인’(2021), 아트리뷰 ‘Power 100’ 19위(2024)에 이름을 올렸다. 현재 그는 스위스를 기반으로 한 세계적인 갤러리 하우저 앤 워스(Hauser & Wirth) 소속 작가다.

“저는 미술사와 싸워왔습니다. 하지만 예술가로서의 기쁨은 포기하지 않으려 해요. 제 작업은 저를 자유롭게 하고, 그 안에는 늘 사회적 기억이 깃들어 있습니다. 추상은 그걸 가능하게 만드는 도구예요.” (마크 브래드포드)
그에게 추상이란 현실로부터의 도피가 아니라, 불평등과 권력, 정체성의 균열을 시각화하는 감각적 저항이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현대미술 기획전으로 미국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갖고 대형 추상회화 작품은 선보이고 있다. 2025.07.31. [email protected]


◆캔버스를 걷다…회화의 틀을 전복하는 몸의 행위
전시 제목 ‘Keep Walking’은 단순한 동사가 아니다.

전시장 바닥에 펼쳐진 대형 회화 설치작 '떠오르다(Float)'는 관람객이 직접 그 위를 걷도록 유도한다.

수백 개의 캔버스와 종이를 찢어 구성된 이 작품은 ‘벽에 거는 회화’라는 제도적 틀 자체에 질문을 던진다.

“회화를 지지하는 캔버스의 틀, 그리고 주제를 설정하는 구조… 저는 그 안에 관람객이 들어가 걷게 만들고 싶었어요. 그것은 회화에 대한 질문이며, 동시에 정치적인 행위입니다.”

그에게 ‘걷는다’는 행위는 단순한 이동이 아니다. 느리게, 천천히 작업하고 사유하는 자신의 삶의 태도와 닮아 있다.
“우리는 모두 각자의 몸 안에 갇힌 존재예요. 하지만 그 몸을 통해 세상을 헤쳐 나갈 수 있어요. 거북이처럼, 느리더라도 계속 걷는 것, 그게 제 메타포입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현대미술 기획전으로 미국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갖고 대형 추상회화 작품은 선보이고 있다. 2025.07.31. [email protected]

◆불타는 지구와 잿더미 위의 권력
이번 전시에서 가장 강력한 정치적 은유를 담은 작품은 '그는 잿더미의 왕이 되기 위해서라도 나라가 타오르는 것을 볼 것이다'(2019)다.

8개의 불탄 지구가 공중에 매달린 조형물로, 브래드포드는 이 제목이 드라마 ‘왕좌의 게임’에서 차용한 것이라 밝혔다.
“이 작품은 불평등에 대한 이야기입니다. 같은 지구에 살지만, 사람들은 전혀 다른 조건 속에서 살아가죠.”
불타는 지구의 크기는 제각각이다. 그는 말없이 경고한다. 우리는 같은 행성에 살고 있지만, 결코 같은 세계를 공유하지는 않는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현대미술 기획전으로 미국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갖고 대형 추상회화 작품은 선보이고 있다. 2025.07.31. [email protected]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현대미술 기획전으로 미국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갖고 대형 추상회화 작품은 선보이고 있다. 2025.07.31. [email protected]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아모레퍼시픽미술관은 현대미술 기획전으로 미국 작가 마크 브래드포드(Mark Bradford)의 개인전 ‘Mark Bradford: Keep Walking’ 기자간담회를 31일 서울 용산구 아모레퍼시픽미술관에서 갖고 대형 추상회화 작품은 선보이고 있다. 2025.07.31. [email protected]


◆퀴어, 기억, 존재의 잔향
 신작 '폭풍이 몰려온다'(2025)는 역사적 퀴어 인물과 흑인 커뮤니티의 기억을 소환한다. '공기가 다 닳아 있었다'는 남부 흑인의 이주 여정을 ‘시간표’라는 장치를 통해 회화적 층위로 펼쳐내며, 시간성과 이동을 시각화한다.

영상작업 '나이아가라'(2005)는 작가 작업실 이웃 엘빈이 로스앤젤레스 거리를 걷는 뒷모습을 담는다.

1953년 마릴린 먼로 주연 영화 ‘나이아가라’를 흑인 퀴어 시선으로 재해석한 이 작품은, ‘걷는다는 것은 살아 있다는 것’이라는 주제를 조용히 관통한다.
associate_pic
[사진=박현주 미술전문기자] 전시장 입구에 선보인 마크 브래드포드 비디오 소리없는 영상. 작업실 이웃이 로스앤젤레스 거리를 걷는 뒷모습이 반복된다.

 *재판매 및 DB 금지
“작품 안엔 기억도 많고, 서사도 많습니다. 그래도, 일단 봐야죠. 그리고 걸어야 합니다.” 마크 브래드포드는 그렇게 말했다.

이번 전시는 관람자가 그의 작업 안으로 직접 발을 들이며, 질문과 응답의 과정을 몸으로 체험하게 한다.

백인 사회의 편견을 뚫고 20여 년간 추상 회화를 밀어붙여온 그의 작업 세계는, 동시대 미술의 정치성과 형식 실험을 동시에 조망한다.

 강렬한 회화와 설치 작업은 전시장을 압도하며, 수행성과 노동의 밀도로 브래드포드의 예술적 태도를 보여준다.

작가가 참여하는 아티스트 토크는 9월 2일 열리며, 전시는 2026년 1월 25일까지 계속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