박현주 아트클럽

김용익 화백 작품으로 보는 '한국 현대미술의 굴곡'

등록 2016-08-30 17:45:51  |  수정 2016-12-28 17:34:44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일민미술관 1전시실 전경 ‘모더니즘과 민중미술 사이에서
【서울=뉴시스】박현주 기자 = “이번 전시는 한 미술가의 작품 세계 자체에 집중하기 보다는 역사적 개인으로서의 미술가를 드러내고 사회와의 관계 속에서 미술의 흐름에 가까이 다가가보는 전시다."

 서울 일민미술관(관장 김태령) 함영준 책임큐레이터가 김용익(69)화백을 주목했다.

 그의 화업 40여년을 통해 시대별 정치, 사회, 미술계의 전반적인 분위기를 파악해냈다. 함 큐레이터는 "1970년대 단색화 시기부터 2010년대 공공미술 이후까지 이어지는 한국 현대 미술사의 결정적 쟁점들이 그의 작품에 기록되어 있다"고 짚었다.

 9월 1일부터 일민미술관 1, 2, 3 전시실에서 풀어내는 이번 전시는 김용익의 대규모 회고전으로 선보인다. "김용익의 작품은 질곡의 한국 현대사를 관통하며 미술가로서 고뇌했던 흔적을 살펴볼 수 있다"는 취지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평면 오브제>, 천 위에 에어브러쉬, 가변 크기, 1977
  '가까이... 더 가까이...'를 타이틀로  처음 작업을 시작한 1970년대 중반부터 2015년까지 작가의 40년 작업 여정을 모두 아우른다. 대형 회화, 설치 작품, 글 자료등 100여점이 공개된다.

 단색화와 민중미술, 대안공간 운동과 공공미술 등 다양한 스펙트럼의 미술인으로 활동해 온 작가의 면모를 보여준다.

 그렇다면 김용익은 누구인가.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무제>, 캔버스에 아크릴, 181.5x227cm, 1991
 1970년대 천의 실제 주름과 주름을 그린 그림 사이의 착시를 활용한 '평면 오브제'로 활발한 활동을 했다. '앙데빵당'전, '에꼴 드 서울'전 등 당대의 유명 전시에 초대되며 모더니즘 계열의 막내 세대로 활약하기 시작했고 홍익대 서양화과 졸업을 마치기 전인1975년 상파울루 비엔날레 출품 작가로 선정되기도 했다. 그러다 1981년 돌연 이 작품을 종이상자에 봉하며 이전 작업과의 단절을 꾀한다. 동년배 미술가 대부분이 엄혹한 정치 상황에 항거해 민중 미술을 표방하게 된 것과 관련이 있다. 이후 판지와 MDF를 이용해 실재와 환영 사이의 형식을 실험하는 작업을 약 10년간 지속한다.  

 작가의 전성기는 1990년대였다. 캔버스에 같은 크기의 원이 리듬 있게 배치된 ‘땡땡이 작업’이다. 가까이 들여다보면 작가의 희미한 메모와 그리고 덮기를 반복한 자국, 얼룩지고 삭은 세월의 흔적들이 모더니즘의 정밀하고 완결된 화면에 균열을 가하는 것을 발견할 수 있다. 이 방법론을 심화시켜 2000년대까지 '절망의 완수'시리즈가 이어졌다.

 1990년대 말부터 김용익은 미술행정에도 뛰어들었다. 광주비엔날레 정상화와 관료적 문화행정 철폐를 위한 범미술 위원회 위원장을 역임하고, 아트 스페이스 풀의 운영에 참여했고, 공공미술과 관련한 각종 기획을 했다. 또 양평으로 거처를 옮기면서 환경 및 지역 미술 운동에 관심을 두었다.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일민미술관 3전시실 전경 ‘윤리, 반성, 미술’
 최근 김용익은 '절망의 완수' 시리즈에 그치지 않고 40년 남짓 진행해 온 작품 활동의 결과를 관 형태의 나무 상자에 봉인하고 그 위에 고인의 명복을 비는 도상과 글을 덧붙이는 제의적 행위에 집중하고 있다.

 그는 시신을 염하고 장례를 치르는 듯한 일련의 과정 속에서 그 동안 많은 전환을 거쳐온 작업 여정을 스스로 반성하고 정리한다. 이번 전시에 '원 왕생', '지장보살-1', '풍장'등 관 시리즈 신작 10여점을 공개한다.

  전시는 굵직한 시간의 순서대로 나열한 작품을 통해 작가가 자기 자신, 미술, 그리고 이를 둘러싼 사회에 대해 어떻게 반응하고 변화해 왔는지를 살펴볼 수 있도록 구성했다. 많은 변화를 거쳐온 작업의 여정을 스스로 정리하는 형식의 신작들과 함께, 작가의 지난 40년을 다양한 각도에서 들여다 볼 수 있는 아카이브도 마련했다.

  작품 세계를 이해해보는 다양한 프로그램이 열린다. 지난 40여 년간 주요 전환 지점에서 함께 활동했던 동료 작가, 큐레이터, 비평가를 초대하여 생생한 이야기를 들어보는 시간과 모더니즘, 대안공간운동, 공공미술 등 작가가 천착했던 분야의 전문가를 초청하여 다각적인 시점에서 전시를 이해할 수 있는 강연이 진행될 예정이다. 전시는 11월 6일까지. 관람료 4000~5000원.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