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 서울시립미술관.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서울시립미술관이 소장작품 1만 점 시대를 연다.
지난 3년간(2023~2025) ‘국내외 동시대 주요 작가 작품 집중 확보’와 ‘한국미술사 결락 보완’, ‘신진작가 발굴’, ‘장르별 균형 수집’을 중심으로 체계적인 컬렉션 정책을 추진한 결과다.
30일 서울시립미술관은 "서울시립 사진미술관과 서서울미술관의 대규모 이관이 더해지며 본·분관 통합 소장 규모가 1만 점을 돌파한다"고 밝혔다.
서울시립미술관은 최근 휘트니미술관 커미션 작가 토크와세 다이슨(Torkwase Dyson), 클레어 퐁텐(Claire Fontaine), 로렌스 아부 함단(Lawrence Abu Hamdan), 날리니 말라니(Nalini Malani) 등 해외 작가의 작품을 확보하며 국제적 위상을 강화했다. 특히 클레어 퐁텐의 ‘외국인은 어디에나 있다’는 2024년 제60회 베니스비엔날레 전시 제목으로 선정된 작품이다.
 |
| 클레어 퐁텐_외국인은 어디에나 있다_2024_설치 *재판매 및 DB 금지 |
국내 컬렉션 강화도 두드러진다. 권진규의 ‘테라코타 여인 흉상’, 장성순의 1950년대 회화, 김종학·이상욱의 드로잉과 판화, 홍경택의 회화 등 한국 근현대미술사의 결락을 메우는 주요 작품들이 새로이 수집됐다. 또 공모를 통해 류성실, 상희, 차재민, 탁영준 등 신진작가의 대표작을 구입했으며, 공예·한국화 분야에서는 이수지, 박웅규, 한상아의 작품을 추가해 장르 균형을 맞췄다.
컬렉션의 또 다른 동력은 대규모 기증이다. 올해는 한국 실험미술의 거장 이승택(1932~)이 설치·조각·사진 등 대표작 146점을 미술관에 기증했다. 이로써 서울시립미술관은 2020년 김인순, 2021년 권진규, 2022년 박광진, 2023년 한운성, 2024년 송수련으로 이어지는 기증 릴레이를 완성했다. 2021~2025년 기증 작품의 평가액은 약 220억 원에 달한다.
 |
| [서울=뉴시스] 박진희 기자 = 서울시립미술관은 신규 분관 서울시립 사진미술관(Photography Seoul Museum of Art)을 29일 개관한다.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은 우리나라 공립미술관 중 최초로 설립된 사진 매체 특화 미술관이다. 2025.05.28. [email protected] |
서울시립 사진미술관은 올해 5월 개관과 함께 정해창, 김천길, 박영숙, 구본창 등 한국 사진사 주요 작가 26인의 작품 7000여 점을 이관받았다. 내년 상반기 개관 예정인 서서울미술관은 김윤철, 남화연, 언메이크랩, 김치앤칩스, 셰자드 다우드, 아니카 이, 로랑 그라소 등의 작품을 중심으로 뉴미디어 특화 컬렉션을 구축 중이다.
최은주 서울시립미술관장은 “서울의 대표 공공미술관으로서 미술사적 가치가 높은 작품을 확보하고, 시민이 예술적 경험을 나눌 수 있도록 전시·연구·교육·출판·온라인 플랫폼 등을 통해 소장작품을 적극 공유하겠다”고 말했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