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술계 소식

창경궁 600년 역사 한눈에…'동궐, 창경궁의 시간' 개관

등록 2025-09-26 11:06:29

건립·변천부터 일제강점기 이후 복원 과정까지 조명

영춘헌 전각 내부도 특별 개방, 참여형 프로그램 운영

associate_pic
[서울=뉴시스] '동궐, 창경궁의 시간' 전시 포스터. (사진=국가유산청 제공) 2025.09.26. [email protected] *재판매 및 DB 금지

[서울=뉴시스]전상우 수습 기자 =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가 국가유산진흥원과 함께 오는 30일 창경궁 집복헌에서 '동궐, 창경궁의 시간'을 개관한다고 26일 밝혔다.

이번 전시는 ▲창경궁 건립부터 오늘에 이르기까지의 역사 ▲국왕의 집무 공간 ▲왕실 여성과 세자의 생활 터전 ▲국가 의례의 현장 등 창경궁이 걸어온 600년의 여정을 종합적으로 조망한다.

특히 일제강점기 '창경원' 시절의 훼손과 광복 이후 복원 노력을 확인해 볼 수 있는 자료를 통해 궁궐이 겪은 굴곡진 역사를 되돌아볼 수 있다.

창경궁은 1418년 세종이 태종을 위해 지은 수강궁에서 출발해 성종 14년(1483년) 창경궁으로 확장 건립되며 창덕궁과 함께 '동궐'이라 불리는 등 조선 왕실의 핵심 공간으로 자리 잡았다.

그러나 일제강점기 동물원과 식물원이 들어선 '창경원'으로 격하되는 아픔을 겪은 후 광복 이후에서야 복원 과정을 거쳐 오늘날의 모습을 되찾았다.

전시에서는 청각·시각 장애인도 함께 전시를 즐길 수 있도록 수어 해설 영상과 점자 안내 홍보 책자(리플릿)도 제공된다.

아울러 국가유산청 궁능유적본부는 30일부터 11월16일까지 영춘헌 전각 내부를 특별 개방해 다양한 참여형 프로그램을 운영한다.

관람객들은 증강현실 기술로 재현한 현종 14년(1848년) '무신진찬의궤' 속 왕실 연회 장면을 태블릿 컴퓨터로 보며 직접 마주하는 듯한 경험을 할 수 있다.

또한 창덕궁과 창경궁을 그린 그림인 '동궐도' 속 창경궁 전각들을 찾아 스티커를 붙이는 체험과 궁궐 내부 사진 촬영 구역(포토존), 휴식공간도 마련된다.

전시와 체험은 사전 예약 없이 누구나 무료로 관람하고 참여할 수 있다. 운영시간은 매일 오전 10시부터 오후 5시까지다. 단, 창경궁 휴무일인 매주 월요일은 관람이 불가하다.

자세한 내용은 궁능유적본부 누리집과 국가유산진흥원 누리집에서 확인하거나 궁능 활용 프로그램 전화 상담실로 문의하면 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