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종묘, 2020, 캔버스 천에 먹 호분 분채 석채 금니, 220×560cm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가로 5m 화폭에 채색 산수 기법으로 그려낸 푸른 '종묘'를 만나볼 수 있는 전시가 열린다.
화가 조풍류는 '풍류, 서울을 보다' 개인전을 오는 9일부터 24일까지 서울 인사아트센터에서 펼친다.
2012년 인왕산을 처음 화폭에 담은 것을 시작으로 푸른색을 주조로 한 서울 산수 작업에 매진한 이후 현재까지 10여 년 동안 서울을 주제로 채색 산수의 세계를 탐구해 온 작가의 역작들을 선보이는 자리다.
 |
종묘-영녕전, 2024, 캔버스 천에 호분 먹 분채 석채, 220×560cm *재판매 및 DB 금지 |
채색화 기법을 연마하던 2000년대 중반부터 전국 방방곡곡으로 사생을 다니며 아름다운 우리 산천을 화폭에 담았다. 2010년대 초반, 인왕산을 중심으로 한 서울의 아름다움에 눈을 뜬 이후 도시와 자연이 조화롭게 어울린 서울이라는 도시의 진가를 그림으로 기록했다.
특히 서울이라는 도시를 상징하는 영적 공간이자 건축부터 음악(종묘제례악), 춤(종묘제례 일무), 복식, 음식, 제사 등 샤먼적 요소까지 한국미의 정수가 담긴 종묘(宗廟)를 채색 산수화로 그려냈다.
이번 전시도 종묘 작업이 주목된다. 대작 '종묘'(2020)를 시작으로 국립현대미술관 덕수궁에서 열린 '수묵별미(水墨別美): 한·중 근현대 회화' 전에서 선보인 '종묘 정전'(2023)과 함께 가로 560cm의 대작 '종묘-영녕전'(2024)를 이번 전시에서 최초로 공개한다.
 |
서울전경도, 2023, 캔버스 천에 호분 먹 분채 석채, 200×650cm *재판매 및 DB 금지 |
남산 전망대에서 바라본 서울 전경을 가로 6m 50cm에 이르는 거대한 화폭에 담은 '서울전경도'도 소개한다.
"대학원 시절 산수화의 관조방법(觀照方法)을 집중적으로 연구했다"는 작가는 "어느 한 시점에서 보이는 풍경을 화폭에 옮긴 것이 아니라 남산 전망대를 중심으로 서울의 전경을 가장 잘 보여줄 수 있는 다양한 시점을 반영해, 단순한 풍경화를 넘어 우리 시대 서울의 정취를 생생하게 보여주는 현대적인 채색 산수화를 완성했다"고 밝혔다. 작품 앞에 서면 마치 그림 안에 들어가 풍경의 한 부분이 된 듯한 느낌을 전한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