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미국 덴버박물관 달항아리 특별전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보름달 같은 달항아리가 미국 콜로라도주 덴버박물관(Denver Art Museum)에서 다시 차올랐다.
국립중앙박물관은 국외박물관 한국실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지난 2일 덴버박물관에서 '한국의 달항아리, 다시 차오르다(Lunar Phases: Korean Moon Jars)' 특별전을 개막했다.
2023년 12월 열린 '무심한 듯 완벽한, 한국의 분청사기(Perfectly Imperfect: Korean Buncheong Ceramics)'에 이은 두 번째 한국미술 특별전이다. 국립중앙박물관의 2025년 첫 우리 문화유산 국외전시이기도 한 이번 전시에는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달항아리 3점이 출품됐다.
덴버박물관은 아메리카 원주민 예술, 아시아, 유럽, 미국 및 남미의 회화, 조각, 도자 등 방대한 컬렉션을 소장한 기관이다. 2023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의 지원을 받아 한국미술 특별전 개최하고 한국 현대 작가 연계 프로젝트, 한국실 담당 인력 채용 지원 등의 사업을 수행하고 있다.
 |
백자대호. 국립중앙박물관 소장. *재판매 및 DB 금지 |
◆한국 문화의 아이콘 달항아리
달항아리는 조선 후기 17세기 말에서 18세기 전반에 제작된 특수한 백자다. 보름달처럼 희고 둥글지만, 한편으로 살짝 이지러진 모양과 순백이 아니라 우유나 흰 눈 같은 색감은 세계 어디에서도 찾아볼 수 없는게 특징이다. 달항아리의 양면적 특징은 유교 사회 조선에서 예의와 절제를 중시하던 선비들의 반듯한 모습을 떠오르게 하는 동시에 그들의 순박한 마음도 느끼게 한다.
달항아리는 시대와 공간을 넘어 많은 이들을 매료시켜 왔다. 20세기 초부터 버나드 리치(Bernard Leach, 1887~1920), 김환기(1913~1974), 최순우(1916~1984) 등 많은 국내외 예술가와 미술사학자들이 달항아리의 매력에 빠져 달항아리를 모으고 그려왔으며 1950년대를 지나면 ‘달항아리’라는 시적인 이름도 정착했다.
옛 달항아리는 21세기 더욱 존재감을 과시하고 있다.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 성화대가 달항아리 모양으로 제작됐고 K팝 아이콘 방탄소년단(BTS) RM이 권대섭 작가의 달항아리를 구입하고 이를 끌어안은 장면까지 화제가 되는 등 달항아리는 오늘날 한국 문화의 대표적인 예술 상징이 되었다.
 |
Steven Young Lee_덴버박물관 소장 *재판매 및 DB 금지 |
◆달항아리, 새로운 한류의 방향 모색
이번 특별전의 중심은 조선시대 달항아리 6점과 현대 도예가들이 제작한 달항아리 6점, 총 12점의 달항아리다.
과거에서 현대로 이어지는 시간의 흐름을 보여주는 전시는 달항아리에서 영감을 받은 다양한 회화, 사진, 비디오, 설치미술 등 현대미술품 9점을 함께 선보인다.
전통과 현대를 아우르는 한국의 새로운 문화 아이콘에 주목한 달항아리 특별전은 K-컬처의 확장을 보여주는 전시다.
출품된 현대미술 중에는 한국의 저명한 근현대 작가의 작품뿐만 아니라 젊은 재미교포 작가들의 작품도 다수 포함되어 있다. 덴버박물관은 2023년부터 국립중앙박물관의 지원을 받아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작가 발굴에도 힘써 왔다. 이들 작품에는 한국에 대한 그리움과 현대성 및 지역성이 복합적으로 표현되어 있다는 점에서 주목할 만하다.
현대 작가 재해석 프로그램으로 제작된 이승민의 작품은 내년 덴버 현대미술관(Museum of Contemporary Art, Denver) 개인전에 출품되고, 이재이 작품은 올해 10월부터 워싱턴 D.C. 한국문화원 등에서 전시될 예정이며 켄 건 민(Ken Gun Min)의 작품은 이번 달항아리 특별전에서 선보인다.
또한 덴버박물관은 자체 예산으로 김민재, 이동식, 박영준(Youngjune P. Lew), 스티븐 영 리(Steven Young Lee)의 작품 등 총 4점의 한국 현대미술 작품을 구입했다. 이들 작품들은 이번 달항아리 특별전에도 소개한다.
 |
덴버박물관 달항아리 특별전 전시 전경.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번 달항아리 특별전은 미국에서 활동하는 한국인 큐레이터, 김현정 아시아미술부장과 박지영 국립중앙박물관 한국미술 펠로우(National Museum of Korea Fellow of Korean Art)에 의해 기획됐다.
덴버박물관의 한국미술 큐레이터는 국립중앙박물관의 국외박물관 한국실 지원 사업의 일환으로 채용된 전담 인력이며, 전시 기획 단계에는 국립중앙박물관에서 파견한 학예연구사가 현지에서 참여하기도 했다. 이러한 덴버박물관 한국 관련 큐레이터들의 역량이 모여 분청사기에서 달항아리로 이어지는 두 번의 한국미술 특별전을 성공적으로 개최할 수 있었다.
김재홍 국립중앙박물관장은 “앞으로도 국립중앙박물관은 덴버박물관의 사례와 같이 세계의 다양한 거점 박물관과 맺은 교류 협력 체계를 기반으로, 한국 문화의 다양성을 전달할 수 있도록 하겠다”고 밝혔다.
이번 전시는 덴버박물관 1층의 갤러거 갤러리에서 6월 8일까지 이어진다. 국립중앙박물관의 지원으로 발간한 전시 도록은 향후 국립중앙박물관 뮤지엄샵에서도 판매할 예정이다.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