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
구기동 서울미술관 전경. 사진=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제공. *재판매 및 DB 금지 |
[서울=뉴시스] 박현주 미술전문 기자 = "그 부암동 2012년 개관한 서울미술관이 아니고 전혀 별개의 구기동 서울미술관이다."
김달진미술자료박물관 김달진 관장은 '서울미술관, 그 외침과 속삭임'전시를 한다고 하니, 서울미술관이 있는데 왜 전시를 하냐는 질문에 답답함을 드러냈다.
"미술자료박물관답게 우리 미술의 흐름에 중요한 역할을 했던 한 사립 서울미술관의 역사를 다시 기억하고 기록하고자 전시를 마련했는데, 동명의 미술관이 있어 오해를 한다"고 했다.
'구기동 서울미술관'은 오윤, 오경환과 함께 민중미술의 태동을 알렸던 '현실동인'(1969)의 창립회원이던 임세택이 한국상업은행장이던 부친 임석춘의 도움을 받아 개관한 미술관이다.
김달진 관장은 "1981년부터 2001년까지 20년 동안 '서울 종로구 구기동 88-2'에서 운영된 서울미술관은 60여 회 전시와 강연회, 공연 등 다양한 문화행사를 개최하며 당대 가장 선진적 미술문화를 이끌었다고 평가 받는다"고 밝혔다.
개관 당시 멕시코대사관으로 활용되었던 건물을 사용하여 화제가 되었으며, 뒤샹과 만 레이, 오펜하임과 로베르트 마타 등 유럽의 다다와 초현실주의, 프랑스 신구상회화를 전시를 통해 소개하는 등 적극적으로 해외미술을 국내에 알리는데 앞장섰다. 더불어 사회참여적 경향이 강한 신학철, 임옥상, 권순철, 민정기와 같은 민중미술 작가의 개인전을 개최하여 민중미술 제도화에 기여했다.
미술관이 IMF 이후 경영난을 겪고 있던 시기에는 국내와 프랑스 문화예술인 100여 명이 구명운동에 참여하기도 했지만 2001년에 폐관했다. 구기동에 위치해 있던 서울미술관 건물은 2023년경에 철거되었다.
김달진 관장은 "박물관에서 2012년 '외국미술 국내전시 60년'과 연계하여 “한국미술에 큰 영향력을 준 외국전시”를 설문조사하였는데 서울미술관의 1982년 '프랑스의 신구상미술전'이 3위로 선정되기도 했다"고 전했다.
 |
뒤샹 전시를 열었던 서울미술관 포스터. *재판매 및 DB 금지 |
오는 7일부터 여는 '서울미술관, 그 외침과 속삭임' 전시를 위해 당시 미술관장이었던 故 김윤수관장 부인 김정업, 기획실장이었던 심광현, 근무했던 최석태, 전시작가 민정기, 미술관 활동에 동참했던 박신의, 이영욱을 인터뷰했다.
박물관은 지난 2월 18일 전시 사전 세미나를 개최했다. 세미나에서는 심광현 한국예술종합학교 명예교수(전 서울미술관 기획실장)의 ‘서울미술관을 회고하다: 1985-1993’와 기혜경 홍익대학교 교수의 ‘《문제작가전》과 형상미술’, 김종길 경기도미술관 학예연구팀장의 ‘서울미술관 전시: 《프랑스의 신구상미술전》 중심으로’ 주제 발표가 있었다. 토론 시간에는 최열 미술사가, 김영호 중앙대학교 명예교수, 최태만 국민대학교 교수가 패널로 참여했다.
이번 전시는 박물관이 수집해 놓은 서울미술관의 아카이브 60여점과 전시 준비 기간 동안 서울미술관과 관계된 인물에 대한 인터뷰 영상으로 구성된다. 박물관은 전시 종료 이후에 박물관 누리집(daljinmuseum.com) 등을 통해서 전시 기간 동안 구축한 기초 연구자료를 온라인에 무료로 공개할 예정이다.
전시를 기획한 김정현 학예사는 “유럽 68혁명 시기 이후 급변하던 문화사적 흐름에 조응한 서울미술관은 운영 체계와 전시 등 모든 면에서 당시로서 선진적인 미술관 문화를 한국에 선보였다. 특별히, 프랑스의 문화예술계와 긴밀히 관계를 맺었던 서울미술관은 내년에 개관하는 퐁피두센터한화와 2030년 부산에 퐁피두센터 분원 건립이 논의되고 있는 현 시점에 짚어볼만한 가치가 있다"고 기획 의도를 밝혔다. 전시는 5월2일까지.
◎공감언론 뉴시스 [email protecte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