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빈 식탁과 빈 도시 영상으로 전쟁에 대한 공포를 주는 대만관 작가 위안광밍(Yuan Goang-Ming)의 전시 ‘매일 전쟁(Everyday War)’ 전경. 사진: Keeho Kang *재판매 및 DB 금지 |
[베니스=뉴시스] 적막 속에서 사이렌과 폭탄 소리가 작아졌다 커졌다 반복하고, 스크린 안에서는 중산층 가정의 거실 정도로 보이는 평범한 공간이 산산이 부서져, 날아다니는 파편이 화면을 뚫고 내게 날아올 듯 하다. 옆 방 영상에서는 어항이 잔인하게 깨지고 있고, 또다른 방에는 빈 와인잔과 촛대가 하얀 식탁 위에 시체처럼 차려져 있다.
제60회 베니스비엔날레의 대만관 위안광밍(Yuan Goang-Ming) 작가의 전시 ‘매일 전쟁(Everyday War)’이다. 평화로워야 할 일상이 갈기갈기 찢겨가는 과정을 관객들은 숨죽이며 바라본다. 지난 몇년간 중국본토로부터 전쟁 위협을 받는 대만의 상황을 의식하지 않더라도 충분히 공포가 감돈다.
2024년 현재를 살고 있는 사람이라면 누구나 감지하는 ‘뭔지 모를 불안함’은 ‘피노(Pinault) 컬렉션’ 미술관으로 유명한 ‘푼타 델라 도가나(Punta della Dogana)’에서 더 충격적으로 느낄 수 있다. 프랑스의 세계적 작가 피에르 위그(Pierre Huyghe)의 전시 ‘리미널(Liminal, 한계)’이다. 미술관 안은 조명이 전혀 없어, 전시장 안에 들어서는 순간 눈앞이 깜깜하다.
깜짝 놀라 핸드폰 플래시를 바닥에 비추며 벽을 짚고 살살 걸어 가면, 앞에 펼쳐지는 영상은 섬뜩하다. 사람 하나 살지 않는 마을에 버려진 빈 집 안에서 인형인지 로봇인지 표정 없는 기이한 형상이 혼자 돌아다니고 있다.
이 형상이 여자아이 가면을 쓴 원숭이라는 것을 몰라도, 영상을 찍은 곳이 일본 후쿠시마 원전 사고 발생지역이라는 것을 몰라도, 이미 등골이 오싹하다. 자연과 인간이 사라진 뒤 지구의 모습을 누구나 상상해봤을 거라, 이 작품이 어느 지역에서 누구를 찍은 것인지는 중요하지 않다.
토막 난 인체가 담긴 어항, 동물들의 얼굴이 알아볼 수 없을 정도로 빠르게 돌아가는 영상, 위압적인 로봇의 형상, 곳곳에 쭈그리고 앉은 기이한 조각 등 오브제들이 이어지는 전시장은 빠져나가기도 쉽지 않다. 우리가 서서히 파괴해가는 미래에 대한 두려움 때문일까? 어둠 속에서 조심조심 다니다 다른 관객을 코앞에서 마주치면 반갑고 마음이 놓이기까지 한다.
|
Pierre Huyghe, Untitled (Human Mask), 2014 Pinault Collection Courtesy of the artist; Hauser & Wirth, London; Anna Lena Films, Paris © Pierre Huyghe, by SIAE 2023 *재판매 및 DB 금지 |
올해 베니스비엔날레의 주제는 ‘이방인은 어디에나(Foreigners Everywhere)’이다. 총감독인 아드리아노 페드로사(Adriano Pedrosa)는 주전시관인 ‘아르세날레(Arsenale)’에서 하는 메인 전시를 역사에서 약자였던 나라들의 이야기로 가득 채웠다. 황금사자상을 받은 ‘마타호 컬렉티브(Mataaho Collective)’는 뉴질랜드 마오리족 여성작가 4명으로 이뤄진 그룹으로, 천 벨트를 짜서 거대한 지붕으로 만든 작품을 통해 세상 대부분이 잘 모르고 간과했던 곳에 자리잡고 있었던 단단한 힘과 전통을 과시한다.
본전시와 국가관들, 베니스 본섬 곳곳에 차려진 병행 전시들을 보면서 이런 ‘이방의 문화’에 푹 빠질 수 있다. 그런데 여기저기 전시장을 계속 돌아다니다 보니, ‘이방인’은 단순히 ‘외국 사람’이나 ‘소외된 사람’만 뜻하는 게 아닌 것 같다. 뭔가 불안한 사람들, 지금 현재를 아슬아슬 견뎌내고 있는 전세계 모든 나라 사람들을 뜻한다는 생각이 들었다.
|
[사진=이규현]나이지리아관 작가 잉카 쇼니바레의 ‘마음과 영혼의 회복을 위한 기념물'.
*재판매 및 DB 금지 |
‘이방’이라는 주제는 ‘다름’으로 끝나는 게 아니라 ‘연결’ 또는 ‘공감’이라는 주제와 이어진다. 전시공원인 ‘자르디니(Giardini)’를 비롯해 베니스 곳곳에 자리잡은 국가관 전시들을 보면, 우리와 물리적·심리적으로 먼 문화에서 창작된 생소한 작가와 작품에 이렇게 가슴이 열린다는 게 신기하다.
체코관 작가 에바 코타트코바(Eva Koťátková)의 전시 제목은 엄청 길다. ‘생포된 기린의 심장은 12킬로그램 가볍다(The Heart of a Giraffe in Captivity is Twelve Kilos Lighter)’라는 제목만 봐도 인간으로서 약간의 죄책감이 든다.
1954년 케냐에서 잡혀, 기린으로는 처음 체코에 들어와 대환영을 받았지만 2년만에 죽은, 렝카라는 이름의 기린에 대한 이야기를 풀어놓았다. 체코 사람이 아니라면 모르는 얘기지만, 기린의 몸체를 형상화한 놀이터 같은 작품 안에서 전세계 관객들은 작가가 차려놓은 오브제들을 같이 보고 듣는다. 세계 어디에 사는 누구와도 무관하지 않을 이야기이기에 작가가 이끄는 대로 자연스럽게 끌려간다.
일본관의 작가 유코 모리(Yuko Mohri)가 일상의 보잘것없는 물건들로 지은 거대한 놀이터같은 전시 ‘구성(Compose)’에서 과일이 썩어가며 발생하는 신호에 귀를 곤두세우고, 포르투갈관의 전시 ‘그린하우스(Greenhouse)’에서 뭔가 어색한 자연 속을 거닐면서, 이런 불편한 감정을 은근 즐기는 이유는 무엇일까?
|
‘휴전과 인질석방 합의가 되면 전시를 열겠다’는 메시지가 붙은 채 문을 닫은 이스라엘관. © Keeho Kang *재판매 및 DB 금지 |
이스라엘관의 굳게 닫힌 유리문에 붙은 ‘휴전과 인질석방 합의가 되면 전시를 열겠다’는 메시지를 한참 들여다보고, 폴란드 국가관 영상작품(‘Repeat After Me II’)에서 우크라이나 난민들이 “위이이잉…” “우두두두두…” 하면서 그들이 겪은 전쟁을 입으로 소리 내는 걸 따라하는 건 무엇에 홀린 걸까?
사우디 아라비아 국가관에서 마날 알 도와얀(Manal Al Dowayan) 작가가 그 나라 여성들의 이야기를 적었다는 사막 빛깔의 대형 꽃잎 조각(‘Shifting Sands: A Battle Song’) 사이를 돌아다니고, 나이지리아관에서 잉카 쇼니바레(Yinka Shonibare)가 영국에게 빼앗긴 유물 150점을 흙으로 만들어 쌓은 조각 ‘마음과 영혼의 회복을 위한 기념물(Monument to the Restitution of the Mind and Soul)’앞에 서 있으면서, 이 모든 게 마치 나와도 관련 있는 것처럼 보이는 이유는 뭘까?
제목에서부터 뿌옇고 불확실한 현실과 미래를 암시하는 ‘안개(Nebula)’라는 전시장에 들어가, 암울한 세상을 떠올리는 단편영화를 보고 우울해지면서도, 왜 그 옆 방으로 또 옆 방으로 옮겨가며 전시된 8개의 비디오 작품을 다 보게 되는 걸까?
세계 곳곳에서 벌어지는 분열, 전쟁, 증오의 현장, 죽음과 고통에 무책임한 정치, 환경에 우리 모두는 무책임하다. 하지만 현대미술 작가들은 영리하고 독창적인 시각예술 작품으로 우리를 돌아보게 하고, 반성하게 하고, 한편으로는 중독 시키고, 때로는 너무 좌절하지 말라고 우리를 꽉 안아주기 때문이다.
현대미술가들만큼 지금 현재의 세상에 대해 고민하고, 그 고민을 불특정 다수의 사람들과 감각적으로 나누고 싶어하는 직업인들이 또 있을까?
그들 덕분에 전세계의 현대미술 관람객들은 우리가 어떤 세상에 속해 있는지 감각적으로 깨달을 수 있고, 그 와중에도 ‘시각예술’이라는 공통 언어가 있는 것에 감사하고, 아픔과 공포를 같이 느끼면서 적극적이고 열정적으로 살 수 있고, 역설적이게도 희망을 가질 수 있다.
이런 세상을 그려낸 현대미술을 감상하는 건 어찌 보면 자학에 가까운 듯 하지만, 쓰지만 맛있는 그 즐거움 때문에 끊기는 어렵다. 그래서 현대미술은 결국 세상을 치유하고 구원할 거라는 믿음을 이번 베니스 비엔날레를 통해 다시 한번 느낄 수 있었다.
▲글:이규현(이앤아트 대표·‘세상에서 가장 비싼 그림 100’ 저자)
|
[사진=이규현]사우디 아라비아관 작가 마날 알 도와얀의 '움직이는 모래: 전투의 노래(Shifting Sands: A Battle Song)'. *재판매 및 DB 금지 |
◆베니스비엔날레 기간 안팎 주요 전시들(괄호 안은 전시 장소)
-‘피에르 위그: 리미널(Liminal)’. (Punta della Dogana)
- ‘안개(Nebula)’ (Complesso dell’Ospedaletto)
- 한국 국가관 ‘구정아: ODORAMA CITIES’ (Giardini)
- 체코 국가관 ‘에바 코타트코바(Eva Koťátková): 생포된 기린의 심장은 12킬로그램 가볍다(The Heart of a Giraffe in Captivity is Twelve Kilos Lighter)’ (Giardini)
- 폴란드 국가관 ‘나를 따라하세요 II(Repeat After Me II)’ (Giardini)
- 일본 국가관 ‘유코 모리: 구성(Compose)’ (Giardini)
- 포르투갈 국가관 ‘그린하우스(Greenhouse)’ (Palazzo Cavalli Franchetti)
- 대만 국가관 ‘위안광밍: 매일 전쟁(Everyday War)’ (Palazzo delle Prigioni)
- 사우디 아라비아 국가관 ‘마날 알도와얀: Shifting Sands- A Battle Song’ (Arsenale)
- 나이지리아 국가관 ‘Nigeria Imaginary’ (Palazzo Canal)
- 이집트 국가관 ‘드라마 1882’ (Giardini)
- 이태리 국가관 ‘Due Qui: To Hear’ (Arsenale)
- 스페인 국가관 ‘이민자 아트갤러리(Migrant Art Gallery)’ (Giardini)
- 베니스비엔날레 한국관 30주년 기념전 ‘Every Island is a Mountain’ (Palazzo Malta)
- ‘유영국: A Journey to the Infinite’ (Fondazione Querini Stampalia)
- ‘윌리엄 켄트리지: Self-Portrait as a Coffee-Pot’ (Arsenale Institute for Politics of Representation)
- ‘짐 다인: Dog on the Forge’ (Palazzo Rocca)
- ‘줄리 메레투: Ensemble’ (Palazzo Grassi)